2026학년도 대입 수시 모집은 전체 정원의 80% 이상을 차지합니다. 즉, 정시보다 수시에서 합격 기회를 잡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특히 학부모 입장에서는 자녀가 어떤 전형에서 강점을 보이는지, 또 어느 대학이 유리한지 미리 파악해 전략적으로 지원하는 것이 합격의 지름길이 될 수 있습니다.
📌 수시 모집 규모와 일정
2026학년도 수시 모집은 총 27만 9,909명으로, 지난해보다 규모가 늘어났습니다. 4년제 대학은 9월 8일부터 12일, 전문대학은 1차(9월 8일~30일), 2차(11월 7일~21일)에 원서를 받습니다. 학부모로서는 이 시기를 놓치지 않고, 학교 생활기록부와 모의고사 성적 등을 종합해 자녀에게 맞는 전형을 미리 준비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전형별 특징과 학부모 체크포인트
- 학생부 교과 전형 → 내신 성적이 핵심입니다. 전년도 대학별 합격 등급 컷을 확인하고, 자녀의 교과 성적이 어느 위치에 있는지 비교해야 합니다.
- 학생부 종합 전형 → 교과 외에도 활동·봉사·세특·자소서까지 종합 평가합니다. 학부모는 자녀가 활동 내용을 정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지원 대학별 평가 요소를 체크해야 합니다.
- 논술 전형 → 글쓰기와 논리력 중심으로, 일부 대학은 수능 최저를 적용하지 않습니다. 논술 대비 학원·교재 선택 등 학부모의 지원이 특히 중요합니다.
📊 수능 최저 없는 대학 활용
학부모들이 놓치기 쉬운 부분이 바로 수능 최저학력기준입니다. 자녀가 수능에 다소 약하다면, 최저 기준이 없는 대학을 중심으로 전략을 세우는 것이 유리합니다.
교과 전형 무(無) 최저 대학: 건국대, 광운대, 동국대, 명지대, 상명대, 서경대, 한성대 등
논술 전형 무(無) 최저 대학: 연세대(서울), 서울시립대, 서울과기대, 광운대, 상명대, 서경대, 서울여대 등
이 대학들은 성적·논술 실력만으로 승부할 수 있어, 수능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 6번의 지원 기회, 이렇게 배분하세요
수시 지원은 6회 제한이 있습니다. 따라서 학부모는 자녀와 상의해 지원 비율을 전략적으로 나눠야 합니다.
- 상향 지원: 희망 대학에 도전 (2곳)
- 소신 지원: 합격 가능성이 높은 대학 (2~3곳)
- 안정 지원: 합격 안정권 대학 (1~2곳)
상향·소신·안정 지원을 균형 있게 배치해야 전체 실패 확률을 줄이고, 합격 가능성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 ‘어디가’ 활용은 필수
대입정보포털 ‘어디가’는 학부모가 꼭 확인해야 할 사이트입니다. 자녀 성적을 입력하면 지원 가능 대학, 전년도 합격선, 전형별 반영 요소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히 합격 가능성 예측 서비스는 전략 수립에 실질적인 도움을 줍니다.
✍️ 마무리
수시 합격의 핵심은 ‘우리 아이에게 맞는 전형’을 찾는 것입니다. 내신이 강하면 교과 전형, 활동이 다양하면 종합 전형, 글쓰기에 강하면 논술 전형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학부모로서 중요한 역할은 자녀가 강점을 살릴 수 있는 전형과 대학을 함께 탐색하고, 지원 전략을 현실적으로 세워주는 것입니다. 여러분은 자녀에게 어떤 전형이 가장 유리하다고 생각하시나요? 댓글로 의견을 나눠주시면 다른 학부모 분들께도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방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 공감 꾹 눌러주세요!
여러분의 응원이 큰 힘이 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