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전세 대출 부담을 줄이기 위해 가족 간 금전거래를 선택하는 사례가 늘고 있습니다. 실제로 부모나 형제에게 수억 원을 빌리면서 ‘차용증’을 작성했다는 이유로 안심했다가, 증여세 폭탄을 맞는 일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특히 5억 원 이상의 거래에서는 단순한 차용증만으로는 증여세 과세를 피할 수 없으며, 국세청은 실제 상환 여부와 이자 지급 여부까지 꼼꼼히 확인합니다. 오늘은 가족 간 금전거래 시 꼭 알아야 할 절세 포인트를 정리해 드립니다.
단순한 차용증으론 부족합니다
많은 분들이 공증 없이 간단한 차용증만 작성하고, 매달 이자도 지급하지 않은 채 ‘빌렸다’고 주장합니다. 하지만 실제로 이자를 지급하지 않거나 원금 상환 증빙이 없다면, 국세청은 이를 사실상 증여로 간주하고 세금을 부과합니다.
실제로 5억 원을 부모에게 빌리고 차용증을 작성했지만, 이자 지급 내역이 없고 상환 계획이 모호했던 사례에서 수천만 원의 증여세가 부과된 판례가 있습니다.
국세청이 인정하는 '진짜 대여' 요건
- 차용증 작성 (이자율, 상환일자 명시)
- 이자율 최소 연 3~4% 수준 적용 권장
- 실제 이체 내역 및 이자 납부 내역 증빙 필요
- 원금 상환 계획과 실행 내역이 객관적으로 보여야 함
특히 이자 지급은 현금보다 계좌 이체 방식이 명확한 증빙이 되며, 1년에 한 번이라도 이자가 빠지면 증여로 오해받을 수 있습니다.
절세 팁: 가족 간 대여는 이렇게 하세요
- 차용증 공증 또는 공정증서 작성으로 객관성 확보
- 이자 지급은 정기적으로, 계좌이체로 남기기
- 1년 이상 장기 대여 시 연간 이자 지급 내역 철저히 관리
- 금액 클수록 전문 세무상담 필수
정리
가족 간 금전거래라도 일정 조건을 갖추지 않으면, 증여세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단순한 차용증만 믿고 방심했다간 수천만 원의 세금 부담을 질 수도 있습니다.
특히 40~60대 부모세대는 자녀의 주거 비용을 지원하는 과정에서 자칫 증여로 간주될 수 있는 금전거래에 노출될 수 있으니, 반드시 관련 규정을 숙지하고 준비하세요.
👉 더 자세한 내용은 정책브리핑 또는 국세청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운영하는 대한민국 정책을 제공하는 포털사이트로 정책뉴스, 정책포커스, 국민이말하는정책, 정책칼럼, 이슈인사이트, 사실은이렇습니다, 멀티미디어뉴스, 보도자료, 브리
www.korea.kr
국세청
국세청
www.nts.go.kr